레이블이 경제신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경제신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0년 10월 5일 월요일

[신문스크랩] 20.10.06 / 현대차 3분기 실적 개선 (feat. 삼프로TV)

제목: 현대차 '나홀로 진격'…3분기 영업익도 1조 넘는다 
일자: 2020.10.06 
신문사: 중앙일보 
기자: 박성우 기자 blast@joongang.co.kr  
원문: https://news.joins.com/article/23886778 

현대차의 3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을 돌파하는 등 다른 완성차업체와 달리 좋은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얼마 전에 올해 들어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사람들이 공유차량을 포함한 공유서비스 전반에 이용에 거부감을 느껴 차량 구입이 증가하고 있다는 기사를 봤었다. 특히, 차량을 젊은 층에서 차량을 구입하지 않고 공유차량을 많이 이용했었는데, 올해는 반대로 이 젊은 층이 차량 구입을 많이 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패턴이 9월에 정점을 찍었는지 9월 한달동안의 현대자동차 국내 판매량이 전동기 대비 33.8%, 기아자동차는 21.9% 증가하였다.(위 기사 참고) 반면에 해외의 판매량은 크게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3분기의 주요 업체별 판매증감률을 보면 현대기아차를 제외한 나머지 완성차 업체들은 모두 판매량이 전동기 대비 감소하였다. 특히, 닛산의 경우는 30% 가량 감소하였다. 미국 시장에서 타사들과 달리 유일하게 전동기 대비 증가한 판매량을 보여주는 것만 해도 엄청난 실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위 기사에 포함된 그래프를 보면 미국 시장에서의 현대기아차 판매량이 올해 들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수 있는데, 당장 8월 대비 9월의 해외 판매량만 보아도 약 4만대(12%?) 정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기아차의 경우 미국시장에 진출한 이래로 최고의 3분기 실적을 보여줬다고 하는데, 올해 전체 실적도 충분히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럼 이러한 매출 증가가 주식시장에는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한번 보자. 네이버 주식정보를 보면, 현대차의 주가는 어제 대비 2.41% 감소, 기아차의 주가는 어제 대비 0.2%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주가는 실적이랑 상관없는 한국 주식시장의 종특이라서 이런가? 가 아니라 현재 경제방송(이라고 하지만 주식방송인 것 같은) 중 최고인 유튜브 채널 삼프로TV_경제의신과함께 에서 바로 어제 이 주제를 다뤘다. 

사실 어제부터 핫했던 소식인데, 오늘 날짜로 나온 기사를 스크랩한 것이다.(한발짝 늦은 것이다... 어제 했어야 더 좋은데...) 어제는 현대차의 주가가 약 4%, 기아차의 주가는 약 7% 증가하였다. 물론 유명한 유튜브 채널에서 두 종목을 콕 찍어서 언급했기 때문에 주가가 오른 것도 있겠지만, 분명히 국내외에서의 실적개선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몰린 효과도 있을 것이다. (두 효과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면 좋으련만... 할 수 없는게 아쉬울 뿐이다...) 

이제 조금만 더 있으면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줄이을 텐데, 실적이 어떻게 주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한번 지켜보면 나름 재미있을 것 같다.

2020년 10월 4일 일요일

[신문스크랩] 20.10.05 / 방탄소년단 돈방석에 앉힐 빅히트 IPO 공모주 청약

제목: '아미' BTS 돈방석 오르게 할까 오늘 빅히트 공모주 청약

일자: 2020.10.05

신문사: 파이낸셜뉴스

기자: 홍창기 기자

기사원문: https://www.fnnews.com/news/202010050712175123


IPO 시장에서의 대어라고 불리는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공모주 청약이 10/5~10/6 이틀에 걸쳐서 이루어진다는 기사가 나왔다.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에 이은 국내 IPO 시장의 세번째 대어인 만큼 수많은 사람들과 자금이 몰려들 것이 뻔하기 때문에 이렇게 많은 기사가 나오는 것이다. 


하지만 주식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도대체 IPO가 무엇인지, 청약이 무엇인지 잘 몰라서 이러한 기사가 떠도 쉽게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물론 이런 기사를 찾아보는 사람들은 주식시장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 대부분은 쉽게 이해하겠지만, 이제 막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기에 이러한 사람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나 자신도 IPO 시장에 대해 공부하기 위해 이번 기사를 스크랩하여 관련 정보를 정리하기로 했다.


<용어정리>

IPO: Initial Public Offering의 약자. 쉬운 말로 기업이 자사의 주식이 주식시장(ex. 코스피,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자사의 주식을 시장에 내놓는 것이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587&cid=43659&categoryId=43659)


공모주 청약: 기업이 IPO 시장에 공개한 주식을 매수하는 것


유가증권시장: 국내 주식시장. 주식시장에선 KOSPI, KOSDAQ, KONEX 시장이 있으며 이 중 대표인 코스피(KOSPI) 시장을 유가증권시장이라고 함. 큰 의미로 국내 주식시장 전체를 의미하기도 함.


따상: 상장된 종목이 최초 공모가의 2배 가격으로 시작하여 가격제한 상한인 30%가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주가는 160%가 뛴다. ex> 공모가가 10,000원이라고 가정한다면, 시초가가 20,000원(=10,000x2)이 되고, 종가는 26,000원(=10,000x2x1.3)이 된다. 


청약증거금: 주식을 청약받기 위해서 투자자들이 증권사에 납입하는 돈. 일조의 계약금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