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5일 월요일

[신문스크랩] 20.10.06 / 현대차 3분기 실적 개선 (feat. 삼프로TV)

제목: 현대차 '나홀로 진격'…3분기 영업익도 1조 넘는다 
일자: 2020.10.06 
신문사: 중앙일보 
기자: 박성우 기자 blast@joongang.co.kr  
원문: https://news.joins.com/article/23886778 

현대차의 3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을 돌파하는 등 다른 완성차업체와 달리 좋은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얼마 전에 올해 들어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사람들이 공유차량을 포함한 공유서비스 전반에 이용에 거부감을 느껴 차량 구입이 증가하고 있다는 기사를 봤었다. 특히, 차량을 젊은 층에서 차량을 구입하지 않고 공유차량을 많이 이용했었는데, 올해는 반대로 이 젊은 층이 차량 구입을 많이 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패턴이 9월에 정점을 찍었는지 9월 한달동안의 현대자동차 국내 판매량이 전동기 대비 33.8%, 기아자동차는 21.9% 증가하였다.(위 기사 참고) 반면에 해외의 판매량은 크게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3분기의 주요 업체별 판매증감률을 보면 현대기아차를 제외한 나머지 완성차 업체들은 모두 판매량이 전동기 대비 감소하였다. 특히, 닛산의 경우는 30% 가량 감소하였다. 미국 시장에서 타사들과 달리 유일하게 전동기 대비 증가한 판매량을 보여주는 것만 해도 엄청난 실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위 기사에 포함된 그래프를 보면 미국 시장에서의 현대기아차 판매량이 올해 들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수 있는데, 당장 8월 대비 9월의 해외 판매량만 보아도 약 4만대(12%?) 정도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기아차의 경우 미국시장에 진출한 이래로 최고의 3분기 실적을 보여줬다고 하는데, 올해 전체 실적도 충분히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럼 이러한 매출 증가가 주식시장에는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한번 보자. 네이버 주식정보를 보면, 현대차의 주가는 어제 대비 2.41% 감소, 기아차의 주가는 어제 대비 0.2%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주가는 실적이랑 상관없는 한국 주식시장의 종특이라서 이런가? 가 아니라 현재 경제방송(이라고 하지만 주식방송인 것 같은) 중 최고인 유튜브 채널 삼프로TV_경제의신과함께 에서 바로 어제 이 주제를 다뤘다. 

사실 어제부터 핫했던 소식인데, 오늘 날짜로 나온 기사를 스크랩한 것이다.(한발짝 늦은 것이다... 어제 했어야 더 좋은데...) 어제는 현대차의 주가가 약 4%, 기아차의 주가는 약 7% 증가하였다. 물론 유명한 유튜브 채널에서 두 종목을 콕 찍어서 언급했기 때문에 주가가 오른 것도 있겠지만, 분명히 국내외에서의 실적개선으로 인해 투자자들이 몰린 효과도 있을 것이다. (두 효과를 세부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면 좋으련만... 할 수 없는게 아쉬울 뿐이다...) 

이제 조금만 더 있으면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줄이을 텐데, 실적이 어떻게 주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한번 지켜보면 나름 재미있을 것 같다.

2020년 10월 4일 일요일

[신문스크랩] 20.10.05 / 방탄소년단 돈방석에 앉힐 빅히트 IPO 공모주 청약

제목: '아미' BTS 돈방석 오르게 할까 오늘 빅히트 공모주 청약

일자: 2020.10.05

신문사: 파이낸셜뉴스

기자: 홍창기 기자

기사원문: https://www.fnnews.com/news/202010050712175123


IPO 시장에서의 대어라고 불리는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공모주 청약이 10/5~10/6 이틀에 걸쳐서 이루어진다는 기사가 나왔다.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에 이은 국내 IPO 시장의 세번째 대어인 만큼 수많은 사람들과 자금이 몰려들 것이 뻔하기 때문에 이렇게 많은 기사가 나오는 것이다. 


하지만 주식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도대체 IPO가 무엇인지, 청약이 무엇인지 잘 몰라서 이러한 기사가 떠도 쉽게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물론 이런 기사를 찾아보는 사람들은 주식시장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 대부분은 쉽게 이해하겠지만, 이제 막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기에 이러한 사람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나 자신도 IPO 시장에 대해 공부하기 위해 이번 기사를 스크랩하여 관련 정보를 정리하기로 했다.


<용어정리>

IPO: Initial Public Offering의 약자. 쉬운 말로 기업이 자사의 주식이 주식시장(ex. 코스피,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자사의 주식을 시장에 내놓는 것이다. (참고: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587&cid=43659&categoryId=43659)


공모주 청약: 기업이 IPO 시장에 공개한 주식을 매수하는 것


유가증권시장: 국내 주식시장. 주식시장에선 KOSPI, KOSDAQ, KONEX 시장이 있으며 이 중 대표인 코스피(KOSPI) 시장을 유가증권시장이라고 함. 큰 의미로 국내 주식시장 전체를 의미하기도 함.


따상: 상장된 종목이 최초 공모가의 2배 가격으로 시작하여 가격제한 상한인 30%가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주가는 160%가 뛴다. ex> 공모가가 10,000원이라고 가정한다면, 시초가가 20,000원(=10,000x2)이 되고, 종가는 26,000원(=10,000x2x1.3)이 된다. 


청약증거금: 주식을 청약받기 위해서 투자자들이 증권사에 납입하는 돈. 일조의 계약금에 해당한다.


2020년 10월 2일 금요일

[공인회계사] 회계사의 해외파견? (2) 마케팅 파견 (코리안데스크; Korean desk; KD 등)

지난편의 실무자 파견에 이어 이번에는 마케팅 파견에 대해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마케팅파견은 회사마다 그 명칭이 다르지만, 흔히 코리안데스크(Korean desk; KD)라고 불리게 됩니다.


실무자 파견이 대체로 미국, 유럽, 호주 등 일부 국가로 제한되는 반면, 코리안데스크는 정말 세계 각 국으로 파견을 나가게 됩니다. 실무자들이 가는 미국, 유럽, 호주 뿐만 아니라 브라질, 멕시코, 인도, 중국, 동남아 등등 안가는 나라가 없다고 보면 됩니다.


1. 지원시기

그럼 코리안데스크는 어떤 직급에서 파견을 가느냐 하면, 매니저 2년차부터 간다고 보면 됩니다. 매니저, 시니어매니저, 디렉터 각 직급에서 모두 가는 것을 보았습니다. 국내에서 인차지를 하다가 가시는 분들고 계시고, 매니저 롤을 하시다가 가시는 분들, 심리실에서 심리를 하시다가 가는 분들 정말 다양합니다. 


2. 하는 일

코리안데스크는 파견지에서 국내 기업 주재원들을 만나 회계, 세무, 재무 전반에 관한 서비스 소개를 해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파견간 분들도 각자 하는 일에 있어서 전문가는 맞지만, 이 분들이 모든 업무를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해외의 국내 기업들은 회계, 세무, 재무 등 각 분야에서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길 원합니다. 그래서 코리안데스크 파견자들은 주재원들과 자주 연락하며 이러한 문제들을 파악해 이를 적절히 해결해줄 수 있는 현지 회계법인의 전문가들을 소개해줍니다. 


이처럼 해외에서 발생하는 기업들의 이슈를 해결해주기 위해 현지법인, 혹은 국내법인의 전문가들을 소개해주기 때문에 코리안데스크를 마케팅 파견이라고 한 것입니다. 그리고 현지 기업들의 주재원들을 상대하기 위해서는 저들의 이슈를 적절히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능력은 충분한 경험을 쌓아야만 획득할 수 있으므로, 주로 파견되는 직급이 매니저 2년차 이후 부터인 것도 이 때문입니다.


3. 지원조건

위에서 말한대고 코리안데스크 파견자들은 해외 주재원들에게 보여주는 국내 회계법인의 대표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나 보내지 않습니다. 국내에서 우수한 업무성과를 보여주고 현지에서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 사람들을 선발하여 보내게 됩니다.


4. 연봉조건 등

마케팅파견의 경우 연봉과 주거비, 생활비 지원 등이 파견지역과 파견시기에 따라서 그야말로 천차만별 입니다. 지원자가 많이 몰리는 지역의 경우는 조건이 좋지 않지만, 지원자가 많이 몰리지 않는 지역은 반대로 조건이 어마무시하게 좋아지기도 하는걸 봤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연봉이 얼마다, 국내와 비교해서 어떻다 라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마케팅 파견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말할 수 있는 것들은 위에서 기술하였습니다.

실무자파견과 가장 큰 차이점은 현지에서 실무를 하지 않는다는 것인데요. 이러한 점 때문에 간혹 마케팅파견을 간 분들 중 "파견생활이 자신의 인생에 있어서 황금기였다."라고 말하는 분들이 꽤나 많은 것 같습니다.


해외에서 국내 회계법인의 대표로서 현지 진출 기업들을 상대하며 여유로운 생활을 즐기는 삶. 누구든지 한번은 누려보고 싶은 삶이 아닐까 합니다.

2020년 10월 1일 목요일

[해외이슈] 트럼프 코로나 확진

 출처;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0100288547


미국 CNBC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에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트럼프가 여느 미국인들처럼 코로나19에 대해 엄격하게 대응하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았었는데... 공교롭게도 오늘 확진 판정을 받았다...


우선 한경의 트럼프 확진 기사를 보고 확인해야 하고 싶은 것은 아래와 같다.


1. 정말로 트럼프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는가?


2-1. 트럼프 확진 설이 진짜라면?

2-1-1. 트럼프의 확진이 미국 대선에 미칠 영향은?

2-1-2. 트럼프의 확진이 미국 경제/주가에 미칠 영향은?

2-1-3. 트럼프의 확진이 국내 경제/주가에 미칠 영향은?

2-1-4. 트럼프의 확진이 국내 방역에 미칠 영향은?


2-2. 트럼프의 확진 설이 가짜라면?

2-2-1. 이러한 가짜 소문은 어디서 발생한 것인지?

2-2-2. 이러한 소문이 미국 대선에 미칠 영향은?

2-2-3. 이러한 소문이 미국 경제/주가에 미칠 영향은?

2-2-4. 이러한 소문이 국내 경제/주가에 미칠 영향은?


정말로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을까...

세계 대통령의 코로나 확진이 어떠한 영향을 가져올지는 정말 상상도 되지 않는다.


정치, 경제, 주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져보고자 마음을 먹었는데, 마음을 먹은지 얼마 되지도 않은 시점에 이러한 이슈가 터져서 정말 얼떨떨하다.


메가톤급 이슈가 될 것 같은데, 이러한 큰 이슈가 발생한 만큼 세계 정치, 경제, 주가는 시시각각으로 변할 것 같다.


시시각각으로 변화는 상황과 넘쳐나는 정보의 호수에서 나 스스로의 중심을 잘 잡아야 될 것 같다. 


지금까지의 상황이 어떻했는지도 물론 중요하지만, 지금부터의 상황은 더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트럼프의 확진이 진짜일 경우에) 이제 막 시작하고자 마음을 먹은 입장에서 이러한 큰 이슈는 반갑다. 마치 오늘이 세계의 시작인 것처럼, 세계의 처음을 맞이하는 사람처럼 하루도 빠짐없이 발생하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박학다식한 사람이 되어야 겠다.


그런데 진짜 궁금하긴 궁금하다... 과연 트럼프가 진짜 확진일까? 트럼프의 확진은 어떠한 영향을 가져올 것인가? 가짜뉴스라면 이런 가짜 뉴스는 누가 퍼뜨린 것일까? 어떤 목적으로 퍼뜨린 것일까?


세계 대통령 트럼프의 코로나 19 확진여부를 지금부터 다같이 확인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부터 열심히 구글링하도록 하겠습니다.

[공인회계사] 회계사 해외 파견 (1) 실무자 파견 (USMP 등)

엄청 오랜만에 글을 올립니다.

사실 그동안 블로그를 완전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유튜브의 알 수 없는 알고리즘이 저에게 블로그 관련 동영상들을 보여주면서, 구글 블로그를 다시 해보자는 의지가 불타올라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이번 주제는 회계법인에서 회계사들의 해외파견을 주제로 하고자 합니다.

올해 유독 저희 팀에서 해외파견을 가는 사람들이 많아서 이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어 이 정보를 나름 공유해보고자 (아니면 나중에 해외파견 지원해볼 때 서먹어 보고자?) 제가 알고 있는 정보를 상세히 적어보고자 합니다.

법인마다 정책이 모두 다르겠지만, 회계사의 해외파견 유형엔 크게 2가지(1. 실무파견, 2. 마케팅 파견)가 있습니다.

이번엔 그 중 실무자의 해외파견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실무파견은 대체로 미국과 유럽 등의 지역으로 파견됩니다. 대부분 영미권 지역이라 누구든지 파견가기 희망하는 곳들이며, 이런 탓인지 1개 직급을 내려서 파견가고는 합니다.(ex. 시니어는 associate 직급으로, 매니저는 시니어 직급으로)

이렇게 직급을 낮춰서 가기 때문에 연봉도 현지의 낮춘 직급 기준으로 받게 되며 생활비 등의 지원은 없다고 보면 됩니다. 물론 현지의 일반적인 연봉 수준이 국내 보다 높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연봉 수준은 조금이나마 높아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연봉 수준이 높은만큼 물가 수준 또한 국내 보다 높습니다. 그래서 실질적인 소득은 국내에 있을 때보다 줄어들게 됩니다.

국내보다 물가가 비싸다고 했는데, 이는 식재료뿐만 아니라, 월세 등 주거비도 마찬가지입니다. 흔히 알고 있는 대기업의 해외파견은 주재원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에 주거비 및 생활비 등 이런저런 혜택이 많습니다. 하지만 회계법인의 해외파견은 "회사가 보내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지원해서 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혜택이 없습니다. 그래서 월세 등의 주거비도 본인이 부담해야 되는데 이게 꽤나 큰 부담이 됩니다. 그래서 파견지역의 사무실 근처에서 렌트하지 못하고 차로 꽤나 이동해야되는 곳에 보통 집을 구하게 됩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차를 렌터해야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만, 차를 렌트하는 것이 차라리 낫다고 하더라구요. 

원거리 월세+차 렌트비<근거리 월세

물론 집 상태를 고려해야 되겠지만, 나름 로망을 가지고 해외로 파견 왔는데, 아무리 회사 근처라지만 구질구질한 곳에서는 살기 싫지 않을까요...? 그래서 이렇게 꽤 떨어진 곳에 집을 구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사정 때문에 실무자 파견을 간 사람들(특히, 미국)은 국내에서 모은 돈을 파견 가서 까먹고 오는 경우도 더러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 돈 보다는 파견 및 해외 생활 그 자체에 의의를 두는 사람들만 주로 지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대체로 실무자 해외파견을 지원하는 직급은 시니어2년차~매니저1년차입니다.
국내에 있었다면 계정담당자로는 회사 규모에 관계없이 모든 계정을 한번씩은 경험해봤을 테고 비상장사 인차지~작은 상장사 인차지를 맡게 될 직급이죠. 이렇게 국내에서 감사 경험을 쌓고 해외(특히, 미국)으로 실무자로 가게 된다면, 미국 sec에 상장된 기업들에 대한 감사를 수행하며(물론 메인 업무는 미국 등 해외에 진출한 국내 관련 회사들에 대한 감사입니다.), pcaob 기준의 감사를 경험하여 국내에서도 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미국 sec에 직접 상장된 국내 기업들은 국내기업이지만 미국 상장기업이므로 미국 기업들과 동일하게 pcaob 기준으로 감사를 받고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회계법인에서는 이러한 sec 상장사들을 주요 클라이언트로 관리하며, 해당 업무에 투입되는 인원들에 대해서 별도의 교육을 하며, 심리실의 심사 또한 국내 대기업 못지 않게 엄격히 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해외 파견을 갔다온 실무자들은 미국 현지에서의 감사 경험을 살려 이러한 국내의 sec 상장사 감사 업무에 투입되어 해외 파견에서의 경험을 그대로 살려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미국 pcaob 기준에 따른 감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국내 감사기준(K-GAAS)에 따라 감사를 수행하는 다른 동료들보다 더 힘들기는 합니다. 하지만 pcaob 기준에 따른 감사업무 경험을 자신의 전문성으로 삼아 이러한 업무를 전담해서 할 수 있으며, 힘든 업무를 수행하는 만큼 주변으로부터 인정도 꽤나 받아 성과급이나 진급 등에서 혜택을 받기도 합니다. 물론 이직할 때도 해외경험이 좋은 경력으로 인정받기도 합니다.

**************************************************************

다음 글에서는 다른 유형인 2. 마케팅 파견에 대해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